한복이 색상, 형태 등에서 다양화, 패션화, 고급화 되어감에 따라 다시 우리생활 깊숙히 파고 들어오고 있다.
이에따라 치수의 규격화, 패턴의 다양화, 소재개발등의 무제점을 해결하고 전통문화를 계승, 실용성 있는 한복을 많이 보급하기 위해서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각종 한복지를 재료로 하여 고객의 체형에 맞추어 치수재기, 본뜨기, 재단하기의 공정을 거친 후 재봉틀로 박거나 손바느질을 하여 저고리, 치마 바지, 두루마기, 마고자, 조끼, 버선 등을 만드는 작업 수행.
1. 시험방법
- 필기 : 1.섬유일방 / 2.도안과 배색 / 3. 한복구성 / 4. 복식 의장 및 복식 문화사
- 실기 : 한복 제작 작업
2.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선다형 과목당 60문항 (60분)
- 실기 : 작업형 (4~5시간 내외)
3.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자
- 주어진 치수대로 본뜨기, 마름질, 바느질, 끝손질의 작업으로 저고리, 마고자 등을 제작함.
- 도면에서 제시한 색깔, 안감, 깃 등을 넣어 작품완성
수공으로 맞춤 주문복을 전문으로하는 한복점, 한복지를 주포 판매하여 맞춤도 하는 주단 및 유명 한복의상실, 기성복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한복제조업체로 진출 할 수 있다.
전통한복은 각종 행사나 명절에 수요가 있었으나 실용적인 면에서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전통한복의 단점을 개산헌 생활 한복은 우리 민족 고유의 선과 색을 살리 면서 입기 편하고 보관도 용이한 평상복 개념으로 제작, 보급되었기 때문에 수용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한복제조 시 필요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