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의 구성은 길, 소매, 깃, 동정, 고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이 저고리의 기본형제이다. 저고리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하여 왔는데 감, 재봉법, 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홑, 겹, 솜, 누비저고리는 감이나 재봉법에 따른 명칭이다.
남자의 바지는 가랑이가 나누어져 있는 형태의 하의로, 상고시대 이래로 남녀 공통의 복식이었다. 남자바지로는 홑바지, 겹바지, 솜바지, 누비바지가 있었고, 여자도 말을 탈 때에는 말군을 착용하였으며, 악공복으로 버선 달린 대구고가 있었다. 남자바지는 조선시대를 통하여 볼 때 통과 사폭의 변화 외에는 큰 변화가 없다. 현재 남자바지는 마루폭, 큰사폭, 작은사폭, 허리말기로 구성되며, 허리는 허리띠로 바지부리는 대님으로 매어서 입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