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의 여자 저고리에는 길이가 허리 아래까지 내려온 긴 저고리와 아직 일반화되지 않은 허리 위에까지 올라온 짧은 저고리의 두 가지가 있었다.
조선 초기까지 계승되어 온 여자의 짧은 저고리는 그후 저고리의 길이와 깃, 소매선, 옆선 등에서 일정한 변화가 있었다. 깃, 소매끝, 겨드랑이에는 금선(회장)을 댔다. 조선 중기인 당시에 이러한 옷과 함께 길이가 허리 정도로 내려온 저고리도 있었다.19세기말에 이르러 여자 저고리는 그전 어느 시기보다 더 짧아졌다. 이때 와서 여자 저고리는 저고리 도련과 소매 배래선이 거의 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저고리의 옆선도 알아볼 수 없으리 만큼 매우 짧아졌다.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온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여자 저고리는 형태가 매우 독특하면서도 아름답고 고상하다. 저고리는 적삼, 깨끼저고리, 겹저고리. 누비저고리, 솜저고리, 차렵저고리 등이 있었으며 그밖에 회장저고리와 같은 여자에게만 고유한 저고리가 있었다. 적삼은 홑옷으로 만든 홑저고리이다. 속적삼과 다른 점은 고름과 동정이 있다는 것이다. 깃, 겨드랑이, 소매끝의 세 부위에 회장을 댄 저고리를 삼회장저고리라고 하였고 한 곳이나 두 곳에 회장을 댄 저고리를 반회장저고리 또는 회장저고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