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복

삼국시대의 여자 저고리에는 길이가 허리 아래까지 내려온 긴 저고리와 아직 일반화되지 않은 허리 위에까지 올라온 짧은 저고리의 두 가지가 있었다.
조선 초기까지 계승되어 온 여자의 짧은 저고리는 그후 저고리의 길이와 깃, 소매선, 옆선 등에서 일정한 변화가 있었다. 깃, 소매끝, 겨드랑이에는 금선(회장)을 댔다. 조선 중기인 당시에 이러한 옷과 함께 길이가 허리 정도로 내려온 저고리도 있었다.19세기말에 이르러 여자 저고리는 그전 어느 시기보다 더 짧아졌다. 이때 와서 여자 저고리는 저고리 도련과 소매 배래선이 거의 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저고리의 옆선도 알아볼 수 없으리 만큼 매우 짧아졌다.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온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여자 저고리는 형태가 매우 독특하면서도 아름답고 고상하다. 저고리는 적삼, 깨끼저고리, 겹저고리. 누비저고리, 솜저고리, 차렵저고리 등이 있었으며 그밖에 회장저고리와 같은 여자에게만 고유한 저고리가 있었다. 적삼은 홑옷으로 만든 홑저고리이다. 속적삼과 다른 점은 고름과 동정이 있다는 것이다. 깃, 겨드랑이, 소매끝의 세 부위에 회장을 댄 저고리를 삼회장저고리라고 하였고 한 곳이나 두 곳에 회장을 댄 저고리를 반회장저고리 또는 회장저고리라고 한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길고 잔주름이 치마단까지 잡혀 있으며 또 단에는 선이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평상복으로는 짧은 치마·긴 치마, 예복용으로 스란치마·대란치마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짧은 치마는 서민이나 천민이 입었고, 긴 치마는 반인) 계급에서 착용하였는데, 때로는 이 긴 치마를 예식용으로도 사용하였다. 스란치마는 스란단을 부착한 치마이다. 다홍이나 남색으로 한다. 소재는 사나 단으로 하였다. 보통 치마보다 한 폭을 더하여 넓게 하고 땅에 닿을 정도의 길이로 한다. 치마 아랫단에 금박을 찍거나 큼직한 스란단을 덧붙인다. 원래는 궁중 여인들의 복장이다.
문양은 왕비는 용문세자빈은 봉황문, 공주·옹주는 꽃과 글자문이다. 스란 단이 하나인 치마는 소례복으로 착용되었다. 혼례에는 남색 스란치마를 입고 그 위에 홍색 대란치마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