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말기 어린아이가 까치설날 착용하던 오색 두루마기. 까치설날은 섣달 그믐날을 말하는데 설날 전날 좋은 소식을 전해준다는 까치의 이름을 붙여 설날의 기쁨을 누리게 하려는 데서 생겨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본 형태는 보통 두루마기와 다름없으나, 각 부분의 색을 달리한 것이 특징이다. 즉, 오방색(홍색, 청색, 황색, 백색, 흑색) 천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이 중 가운데 색인 황색을 앞 중심의 겉섶에 사용하고 길은 연두색으로 만들었다. 소매는 연두색이나 색동으로 하였다. 남녀에 따라 깃·고름·무 등을 달리 하였는데, 남자 아이는 깃·고름·돌띠를 남색으로 하고, 무를 자색으로 하였다. 여자 아이는 깃·고름·돌띠를 홍색이나 자색으로 하고, 무는 남색으로 하였다. 안은 보통 분홍색으로 한다.